CI
한국 로고규정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고통 당하는 수 많은 사람들이 희망을 갖고 삶을 변화시켜 가려면 그들에게 안락한 집이 있어야 한다는 사실에 공감하고, 많은 파트너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해비타트 운동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에 해비타트는 예수님의 가르침을 좇아 평등과 박애, 그리고 봉사와 관용과 사랑을 위해 일합니다.
해비타트의 로고는 위의 이상들을 포함하고 해비타트 운동의 기본 원칙들을 반영하도록 도안되었습니다.
로고에서 사람의 형상들은 공동의 목적을 위해 함께 모여 있는 것이고, 양팔을 높이 들고 있는 모습은 쾌적한 주택이 전 세계적으로 공급되기 위해 행동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입니다.
로고의 부드럽게 처리된 모서리들은 조화의 추구, 가정은 누구에게나 소중하다는 보편적 진리, 그리고 해비타트 동역자들의 가슴에서 우러 나오는 온유함을 나타냅니다. 지붕의 윤곽은 분명히 집을 상징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인종, 연령, 종파를 초월하여 모든 사람들이 공동의 선을 위하여 모이는 해비타트의 사역을 상징하기도 합니다.
로고에 들어있는 해비타트의 이름은 그 자체로서 해비타트 사역의 두 핵심요소(Habitat : 보금자리, Humanity : 인류)를 분명히 나타내고 있습니다.
해비타트는 쾌적한 주택을 건축함으로써 입주자들뿐 아니라 노동과 사랑을 통해 인간의 최상의 모습을 보여주는 다른 사람들을 위해 새 삶, 새 희망의 기틀을 만들어 줌으로써 인류 전체를 건강하게 합니다.
글로벌 로고규정

글로벌 로고는 전 세계 해비타트를 대표하는 마크입니다.이 형태의 로고는 해비타트 국제본부와 전 세계에 걸쳐 있는 지역별 직할 조직들만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 글로벌 로고가 해비타트 조직의 기본적인 표시로서 활자, 심벌 그리고 법적등록 표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일정한 순서와 비율(가로, 세로 비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심벌은 'for Humanity'라는 단어가 아랫선에 일렬로 맞추어져 있습니다.비율뿐만 아니라 로고 요소들의 배열 순서도 변경해서는 안됩니다
주요컬러
-
- BRIGHT BLUE
-
PANTONE 638
C:86M:0Y:9K:0
R:0G:175B:215
Hex : #00AFD7
-
- BRIGHT GREEN
-
PANTONE 382
C:28M:0Y:100K:0
R:196G:214B:0
Hex : #C4D600
-
- WHITE
-
WHITE
C:0M:0Y:0K:0
R:255G:255B:255
Hex : #FFFFFF
-
- GRAY
-
COOL GRAY 8
C:23M:16Y:13K:46
R:136G:139B:141
Hex : #888B8D
-
- BLACK
-
BLACK
C:0M:0Y:0K:100
R:0G:0B:0
Hex : #000000
BRIGHT BLUE(PANTONE638)와 BRIGHT GREEN(PANTONE382)은 해비타트를 대표하는 색상입니다. 해비타트 로고는 블랙 한가지를 사용합니다.
사용되는 매체에 따라 라이트블루, 블랙 바탕에 화이트로 반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컬러
-
- Habitat Red
-
PANTONE 294
C:100M:53Y:2K:21
R:56G:89B:136
Hex : #385988
-
- Habitat Yellow
-
PANTONE 361
C:77M:0Y:100K:0
R:67G:176B:42
Hex : #43B02A
-
- Habitat Brown
-
PANTONE 165
C:0M:70Y:100K:0
R:1255G:103B:31
Hex : #FF671F
-
- Habitat Purple
-
PANTONE 1807
C:10M:93Y:71K:33
R:164G:52B:58
Hex : #A4343A
색상활용
-
화이트 배경에는 블랙 로고를 사용합니다.
-
라이트블루, 블랙 바탕에 화이트로 반전하여 사용합니다.
-
배경이미지가 있는 경우 화이트 로고를 사용합니다.
공간규정



최소사용규정



금지규정
사용 금지규정은 형태 자체의 변화나 배경 및 근접요소 색상에 의한 워드마크의 이미지 악화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을 배제한다는 기본적인 원칙에 입각하여 사용되어야
합니다. 해비타트 로고는 수정, 변경되거나 다른 모양으로 변질되어서는 안됩니다. 위의 경우는 잘못 사용된 사례입니다.
-
구성요소를 더하거나 삭제한 경우
-
구성요소를 분리하거나 따로 사용한 경우
-
텍스처(질감효과)를 더한 경우
-
일부를 가리거나 색칠한 경우
-
가로, 세로 비율이 변경된 경우
-
심벌 단독이나 활자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